맨위로가기

게미나 제10군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게미나 제10군단은 로마 공화정 시대와 제정 시기를 거치며 활약한 로마 군단이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갈리아 전쟁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내전에도 참전했다. 이후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재건되었고, 히스파니아, 판노니아, 게르마니아 등지에서 주둔하며 다키아 전쟁, 바르 코크바의 난, 마르코만니 전쟁 등 다양한 전쟁에 참여했다. 군단은 '게미나'라는 명칭과 '에퀘스트리스', '피아 피델리스 도미티아나' 등의 칭호를 사용했으며, 스페인과 포르투갈 등지에서 군단 병사들의 비문 자료가 발견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기원전 50년대 설립 - 게미나 제13군단
    게미나 제13군단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기원전 57년에 창설하여 갈리아 전쟁과 카이사르 내전에 참전했으며, 아우구스투스에 의해 재편성 후 '게미나'라는 이름을 얻어 여러 속주에서 전투에 참여하고 5세기에는 이집트까지 주둔했다.
  • 기원전 58년 - 풀미나타 제12군단
    풀미나타 제12군단은 율리우스 카이사르에 의해 창설되어 로마 제국 시대 다양한 전역에 참여, 아우구스투스 황제 시기에 재건, 시리아 주둔 후 파르티아 전쟁, 유대-로마 전쟁 등 주요 전투에 투입되었고,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시기 "비의 기적" 설화와 관련, 멜리테네에 장기간 주둔하며 동부 국경을 수비했다.
  • 기원전 58년 - 클라우디아 제11군단
    클라우디아 제11군단은 기원전 58년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징집한 로마 군단으로, 공화정 후기부터 서로마 제국 말기까지 존속하며 갈리아 원정, 내전, 필리피 전투 등에 참여했고, 발칸 반도 주둔 시기에는 건설 작업에도 투입되었으며, 갈리아 제국과의 전쟁 공로로 "피아 피델리스" 칭호를 받았고, 5세기 초까지 두로스토룸에 주둔했다.
게미나 제10군단 - [군대/부대]에 관한 문서
부대 정보
부대 명칭게미나 제10군단
하드리아누스 시기인 서기 125년의 로마 제국 지도. 서기 103년부터 5세기까지 [[판노니아 수페리오르]] 속주의 [[빈도보나]](오스트리아 빈)에 있는 [[다뉴브강|도나우강]]에서 주둔하고 있던 게미나 제10군단을 나타내고 있다.
하드리아누스 시기인 서기 125년의 로마 제국 지도. 서기 103년부터 5세기까지 판노니아 수페리오르 속주의 빈도보나(오스트리아 빈)에 있는 도나우강에서 주둔하고 있던 게미나 제10군단을 나타내고 있다.
활동 기간기원전 58년 이전 - 5세기
국가로마 공화정 그리고 제정
종류로마 군단 (마리우스 군제개혁)
역할강습 보병 (일부 기병 지원)
규모시기 마다 변화. 창설 당시에는 대략 전투병 3,500명 + 지원 병력. 기원전 31년에 규모가 확장되고 '게미나'라는 코그노멘을 수여받음.
본부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 (기원전 31년 – 71년경)
네이메헌 (71년–103년)
(103년–5세기)
별명Equestris (기사, 카이사르 시절)
Gemina (쌍둥이, 기원전 31년 이래)
Pia Fidelis (충실하고 충성한 자들" (기원전 89년 이래)
Domitiana, Antoniniana, Gordiana, Deciana, Floriana, Cariniana (일시적)
Pia VI Fidelis VI (260년 후)
마스코트수소
전투 및 참전
참전갈리아 전쟁 (기원전 58년– 기원전 51년)
네르비 전투 (기원전 57년)
게르고비아 전투 (기원전 52년)
일레르다 전투 (기원전 49년)
디라키움 공방전 (기원전 48년)
파르살루스 전투 (기원전 48년)
문다 전투 (기원전 45년)
필리피 전투 (기원전 42년)
악티움 해전 (기원전 31년)
바타비아 반란 (70년)
제2차 타파이 전투 (101년)
바르 코크바의 난 (132년–135년)
모라비아의 마르코만니 전쟁 (168년–180년)
나이수스 (268년)
게미나 10군단 소속 벡실라티오네스들이 다수의 전역에 참전.
주요 지휘관
지휘관율리우스 카이사르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2. 역사

율리우스 카이사르갈리아 전쟁에서 활약한 에퀘스트리스 제10군단을 창설하면서 제10군단 게미나의 역사가 시작되었다. 에퀘스트리스 제10군단은 카이사르가 가장 총애하는 군단 중 하나였으며, 폼페이우스와의 내전에서도 카이사르 편에 서서 파르살루스 전투(기원전 49년), 문다 전투(기원전 45년) 등에 참전했다.[1] 기원전 45년, 카이사르는 군단을 해산하고 퇴역병들에게 나르본히스파니아 인근의 농지를 분배했다.[1]

기원전 42년에 군단이 재건되어 아우구스투스(당시 옥타비아누스), 레피두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측에서 필리피 전투에 참전하여 카이사르의 암살범들과 맞서 싸웠다.[1] 이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따라 파르티아 원정에 참전했으며 악티움 해전에서 패배했다.[1] 아우구스투스는 군단을 장악한 뒤 고참병들을 파트라스에 정착시켰다.[1] 군단은 반란을 일으켰다가 그 처벌로 '에퀘스트리스'라는 코그노멘을 잃었고, 다른 군단의 대체 병력들이 더해져 '게미나'라는 이름으로 다시 명명되었다.[1]

기원전 30년경 새롭게 창설된 게미나 제10군단은 아우구스투스칸타브리아족을 상대로 전쟁을 준비하던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의 페타보니움으로 재배치되었다.[7] 군단의 고참 병사들은 오늘날 사라고사메리다에 해당하는 에메리타 아우구스타의 첫 정착민이었다.

아폴리나리스 제15군단이 동방으로 떠난 뒤, 서기 63년경 게미나 군단은 판노니아의 카르눈툼으로 이동했다.[7] 갈바의 짧은 재위 기간(68년-69년) 동안 히스파니아로 복귀하였다.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시기, 게미나 제10군단은 바타비아 반란 진압에 투입되었으며,[7] 반란 진압 후,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의 바타비아 지역에 배치되어 치안 유지와 추가적인 반란 예방 임무를 수행했다.

101년-102년 트라야누스 황제의 제1차 다키아 원정에서 게미나 제10군단은 제2차 타파이 전투에 참여하여 데케발루스 왕이 이끄는 다키아인 군대와 싸웠다.[1]

103년 판노니아 수페리오르아퀸쿰으로 이동했고, 이후 빈도보나(지금의 )로 이동하여 5세기까지 군단의 주둔지가 되었다.[1]

게미나 제10군단의 벡실라티오는 132년-135년 바르 코크바의 난에 맞서 유대 속주에서 시몬 바르 코크바의 반란을 진압했고,[1] 162년 루키우스 베루스의 파르티아 원정에도 참여했다.[1]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168년-180년) 지휘 아래 모라비아 (디예-스브라트카 계곡)에서 콰디족, 마르코만니족, 롬바르드족과 벌인 마르코만니 전쟁에도 참전했다.[1]

게미나 제10군단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를 지지했고, 많은 병사들이 새 황제의 프라에토리아니가 되기 위해 로마로 갔다.[1]

2. 1. 공화정 시기

에퀘스트리스 제10군단은 율리우스 카이사르갈리아 전쟁에서 활약하며 그가 가장 총애하는 군단 중 하나가 되었다. 폼페이우스와의 내전에서도 카이사르 편에 서서 파르살루스 전투(기원전 49년), 문다 전투(기원전 45년) 등에 참전했다.[1] 기원전 45년, 카이사르는 군단을 해산하고 퇴역병들에게 나르본히스파니아 인근의 농지를 분배해 주었다.[1]

2. 1. 1. 갈리아 전쟁

갈리아 전쟁 때, 제10군단은 카이사르의 군사적 성공에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이 때문에 카이사르가 가장 아끼는 군단으로 불리기도 한다. 카이사르의 원정에서 그들은 사비스 전투, 브리튼 침공, 게르고비아 전투에 참전했다.[1]

2. 1. 2. 로마 내전

군단은 기원전 42년에 재건되어 아우구스투스(당시 옥타비아누스), 레피두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측에서 필리피 전투에 참전하여 카이사르의 암살범들과 맞서 싸웠다.[1] 이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를 따라 파르티아 원정에 참전했으며 악티움 해전에서 그와 함께 패했다.[1] 아우구스투스는 군단의 소유권을 장악한 뒤에 고참병들을 파트라스에 정착시켰다.[1] 군단은 반란을 일으켰다가 그 처벌로 '에퀘스트리스'라는 코그노멘을 잃고 말았다.[1] 다른 군단의 대체 병력들이 더해졌고, 제10군단은 '게미나'라는 이름으로 다시 명명되었다.[1]

2. 2. 제정 시기

기원전 30년경 새롭게 창설된 게미나 제10군단은 아우구스투스칸타브리아족을 상대로 전쟁을 준비하던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의 페타보니움으로 재배치되었다.[7] 군단의 고참 병사들은 오늘날 사라고사메리다에 해당하는 에메리타 아우구스타의 첫 정착민이었다.

아폴리나리스 제15군단이 동방으로 떠난 뒤, 서기 63년경 게미나 군단은 판노니아의 카르눈툼으로 이동했다.[7] 갈바의 짧은 재위 기간(68년-69년) 동안 히스파니아로 복귀하였다.

2. 2. 1. 플라비우스 왕조 시기

베스파시아누스 황제 시기, 게미나 제10군단은 바타비아 반란 진압에 투입되었다.[7] 반란 진압 후,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의 바타비아 지역에 배치되어 치안 유지와 추가적인 반란 예방 임무를 수행했다. 71년부터 103년까지는 오늘날 네덜란드 도시 네이메헌인 '오피둠 바타보룸'에 주둔하며, 아디우트릭스 제2군단이 건설한 기지를 사용했다.

게미나 제10군단은 게르마니아 인페리오르의 병력으로서, 게르마니아 수페리오르의 총독 루키우스 안토니우스 사투르니누스도미티아누스 황제에게 일으킨 반란을 진압하는 데 참여했다. 이 공로로 미네르비아 제1군단, 빅트릭스 제6군단, 프리미게니아 제22군단과 함께 '피아 피델리스 도미티아나'(Pia Fidelis Domitiana, 도미티아누스에게 충실하고 충성한 자들)라는 칭호를 받았다. 그러나 도미티아누스 황제가 죽고 기록말살형에 처해지면서 이 칭호는 더 이상 사용되지 않았다.

2. 2. 2. 2세기

101년-102년 트라야누스 황제의 제1차 다키아 원정에서 게미나 제10군단은 제2차 타파이 전투에 참여하여 데케발루스 왕이 이끄는 다키아인 군대와 싸웠다.[1]

103년 판노니아 수페리오르아퀸쿰으로 이동했고, 이후 빈도보나(지금의 )로 이동하여 5세기까지 군단의 주둔지가 되었다.[1]

게미나 제10군단의 벡실라티오는 132년-135년 바르 코크바의 난에 맞서 유대 속주에서 시몬 바르 코크바의 반란을 진압했고,[1] 162년 루키우스 베루스의 파르티아 원정에도 참여했다.[1]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황제 (168년-180년) 지휘 아래 모라비아 (디예-스브라트카 계곡)에서 콰디족, 마르코만니족, 롬바르드족과 벌인 마르코만니 전쟁에도 참전했다.[1] 모라비아의 로마 요새 (무쇼프)에서 게미나 제10군단의 수비대가 발견되었다.[1]

게미나 제10군단은 셉티미우스 세베루스를 지지했고, 많은 병사들이 새 황제의 프라에토리아니가 되기 위해 로마로 갔다.[1]

3. 주요 인물

제10군단 게미나에는 여러 주요 인물들이 거쳐 갔다. 이들은 대부분 로마 귀족 가문 출신으로, 군 복무를 통해 경력을 쌓고 권력을 획득했다.

이름계급시기속주출처
마르쿠스 티티우스 루스트리쿠스 브루티아누스[9]레가투스 레기오니스98년과 108년 사이판노니아 수페리오르
퀸투스 롤리우스 우르비쿠스레가투스 레기오니스130년경판노니아 수페리오르
티투스 카이세르니우스 큉크티아누스레가투스 레기오니스133년과 136년 사이판노니아 수페리오르
푸블리우스 게미니우스 마르키아누스[10]레가투스 레기오니스?157년-?160년판노니아 수페리오르
티투스 아일리우스 아우렐리우스 에피아누스[11]레가투스 레기오니스2세기 말판노니아 수페리오르
가이우스 룩실리우스 사비누스레가투스 레기오니스231년과 270년 사이
가이우스 폰티우스 C.f. 파일리그노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22년 이전
푸블리우스 베시우스 베투이니아누스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102년과 105년 사이판노니아 수페리오르
티투스 프리페르니우스 P.f. 파이투스 멤무스 아폴리나리스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106년 이전판노니아 수페리오르
섹스투스 아티우스 세네키오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117년과 138년 사이유대
[...]us L.f. 안니아누스[12]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232년경판노니아 수페리오르
가이우스 유니우스 티베리아누스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249년경판노니아 수페리오르



이 표에 있는 인물들은 군단장(Legatus Legionis)과 기타 간부(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 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 등)로 나뉜다. 군단장은 군단을 지휘하는 최고위직이다.

3. 1. 군단장 (Legatus Legionis)

이름시기속주출처
마르쿠스 티티우스 루스트리쿠스 브루티아누스[3]98년에서 108년 사이판노니아 수페리오르
퀸투스 롤리우스 우르비쿠스대략 130년판노니아 수페리오르
티투스 카이세르니우스 큉크티아누스133년에서 136년 사이판노니아 수페리오르
푸블리우스 율리우스 게미니우스 마르키아누스[4]?157-?160판노니아 수페리오르
티투스 아일리우스 아우렐리우스 에피아누스[5]2세기 말판노니아 수페리오르
가이우스 룩실리우스 사비누스231년에서 270년 사이



퀸투스 롤리우스 우르비쿠스는 브리타니아 총독 시절 강경 진압 정책을 펼쳐, 한국의 진보 진영에서는 비판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

3. 2. 기타 간부

이름계급시기속주출처
가이우스 폰티우스 C.f. 파일리그노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22년 이전
푸블리우스 베시우스 베투이니아누스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102년과 105년 사이판노니아 수페리오르
티투스 프리페르니우스 P.f. 파이투스 멤무스 아폴리나리스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106년 이전판노니아 수페리오르
섹스투스 아티우스 세네키오트리부누스 앙구스티클라비우스117년과 138년 사이유대
[...]us L.f. 안니아누스[12]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232년경판노니아 수페리오르
가이우스 유니우스 티베리아누스트리부누스 라티클라비우스249년경판노니아 수페리오르


4. 명칭 및 상징

'게미나'(Gemina)는 라틴어로 '쌍둥이'를 의미한다. 이는 제10군단이 다른 군단과 통합되어 재편성되었음을 나타낸다.[1]

5. 비문 자료

게미나 제10군단의 병사들과 관련된 비문 자료는 스페인과 포르투갈 등지에서 발견되고 있다. 발견된 비문들은 다음과 같다.

발견 장소비문 내용
포르투 (Portus), 포르투갈Lucius Lavius Luci filius Aemilia tribu Tuscus Felicitas Iulia miles legionis X Geminae Victricis|루키우스 라비우스 루키우스 아들 에밀리아 부족 투스쿠스 펠리키타스 율리아, 게미나 제10군단 빅트릭스 소속 병사la[1]
루고 (Lucus Augusti), 스페인Caius Valerius Carus miles legionis X Geminae votum solvit libens merito|가이우스 발레리우스 카루스, 게미나 제10군단 소속 병사, 보툼을 기꺼이 서약함la[2]
폰테베드라, 스페인Caius Iulius Sergia Hispali(f) Victor miles legionis X Gemina (centuria Fabi Celtiberi annorum XLII aerum / XVIII hic (...)|가이우스 율리우스 세르기아 히스팔리(f) 빅토르, 게미나 제10군단 소속 병사 (켄투리아 파비 켈티베리, 42세, 복무 기간 18년)la[3]
폰테베드라, 스페인Lucius Valerius Paternus miles legionis X Geminae optio centuria Censoris exs (...)|루키우스 발레리우스 파테르누스, 게미나 제10군단 소속 병사, 옵티오 켄투리아 켄소리스la[4]
하엔, 안달루시아, 스페인Gaius Iulius Primus veteranus legionis X Geminae / hic situs estsit tibi terra levis|가이우스 율리우스 프리무스, 게미나 제10군단 베테라누스la[5]
하엔, 안달루시아, 스페인Dis Manibus Gaio Urbanio Firmino militi legionis X / Iulius Ingenuus miles legionis|가이우스 우르바니우스 피르미누스, 게미나 제10군단 병사la[6]
세비야 (Hispalis), 스페인Capito Sunnae filius decurio equitum alae geminae legionis X Rustica Galli filia|카피토 수나의 아들, 게미나 제10군단의 기병대 데쿠리오, 루스티카 갈리의 딸la[7]
베자 (Pax Iulia), 포르투갈Publius Talius Quinti filius Papiria (tribu) legionis X hic situs est sit tibi terra (...)|푸블리우스 탈리우스 퀸티의 아들 파피리아 (부족), 제10군단 소속la[8]
베자 (Pax Iulia), 포르투갈Marcus Aurelius Marci filius Galeria (tribu) Abbicus miles legionis X decimae|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마르키의 아들 갈레리아 (부족) 아비쿠스, 제10 데키마 군단 소속 병사la[9]
아스토르가 (Asturica), 스페인Lucius Octavius Luci filius Pupinia (tribu) Baeterensis Magius annorum XXXVII / aerorum XIX tubicen / miles legionis X Geminae(...)|루키우스 옥타비우스 루키의 아들 푸피니아 (부족) 바에테렌시스 마기우스, 37세, 복무 기간 19년, 투비켄, 게미나 제10군단 소속 병사la[10]
아스토르가 (Asturica), 스페인Caius Pelgus Luci filius Scaptia (tribu) Clemens veteranus legionis) X Geminae vixit annos LVI hic situs est/ Caius Pelgus (...)|가이우스 펠구스 루키의 아들 스카프티아 (부족) 클레멘스, 게미나 제10군단 베테랑, 56세 사망la[11]
아스토르가 (Asturica), 스페인Caius Coelius Cai filius Papiria (tribu) Valens Narniense miles legionis X Geminae centuria Castellani annorum XXXV aerorum XIII (...)|가이우스 켈리우스 카이의 아들 파피리아 (부족) 발렌스 나르넨시, 게미나 제10군단 소속 병사 (켄투리아 카스텔라니, 35세, 복무 기간 13년)la[12]
아스토르가 (Asturica), 스페인Marcus Persius Marci filius Pollia (tribu) Blaesus domo Hasta miles legionis X Geminae centuria (...)|마르쿠스 페르시우스 마르키의 아들 폴리아 (부족) 블라에수스 도모 하스타, 게미나 제10군단 소속 병사, 켄투리아la
사모라, 스페인Lucius Herennius Luci filius) Galeria (tribu) Callicus domo Ugia miles legionis X Geminae / centuria Licini Clementis annorum / (...)|루키우스 헤렌니우스 루키의 아들 갈레리아 (부족) 칼리쿠스 도모 우기아, 게미나 제10군단 소속 병사, 켄투리아 리키니 클레멘티스la
사모라, 스페인Publius Cosconius Publi filius / Galeria Arsensis / miles legionis X Geminae centuria Etrili annorum XXXI aerorum XI / hic situs (...)|푸블리우스 코스코니우스 푸블리의 아들 갈레리아 아르센시스, 게미나 제10군단 소속 병사 (켄투리아 에트릴리, 31세, 복무 기간 11년)la
사모라, 스페인Marcus Cornelius Marci filius Aniensi Foro Iulii miles legionis X Geminae centuriae Terebrae annorum XXII aerorum (...)|마르쿠스 코르넬리우스 마르키의 아들 아니엔시 포로 율리, 게미나 제10군단 소속 병사 (켄투리아 테레브라, 22세)la
사모라, 스페인Rufus miles legionis X Geminae fecit|루푸스, 게미나 제10군단 소속 병사la
사모라, 스페인Marcus Volumnius Cai filius Aniensi / Cremona miles legionis X hic situs est|마르쿠스 볼룸니우스 카이의 아들 아니엔시, 크레모나, 제10군단 소속 병사la
타라고나 (Tarraco), 스페인Dis Manibus Tito Cassio Flavino centurioni legionis X Geminae Chrysampelus patrono optimo pecunia sua fecit|티토 카시오 플라비노, 게미나 제10군단 켄투리오, 크리삼펠루스 파트로노 옵티모 페쿠니아 수아 제작la
부르고스, 스페인Severus Marci filius (...) miles legionis X Geminae centuriae (...)|세베루스 마르키의 아들, 게미나 제10군단 소속 병사, 켄투리아la


참조

[1] 웹사이트 Legio X Gemina - Livius https://www.livius.o[...]
[2] 문서 Notitia dignitatum in partibus Orientis, ix http://la.wikisource[...]
[3] 웹사이트 §185 Marcus Titius Lustricus Bruttianus https://armyofromanp[...] 2019-01-18
[4]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Rudolf Habelt Verlag
[5]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J.C. Gieben
[6] 서적 The Fasti of Roman Britain Clarendon Press
[7] 웹인용 Legio X Gemina - Livius https://www.livius.o[...]
[8] 문서 노티티아 디그니타툼 in partibus Orientis, ix http://la.wikisource[...]
[9] 웹사이트 §185 Marcus Titius Lustricus Bruttianus https://armyofromanp[...] 2019-01-18
[10] 서적 Konsulat und Senatorenstand unter der Antoninen Rudolf Habelt Verlag
[11] 서적 Konsuln und Konsulare in der Zeit von Commodus bis Severus Alexander J.C. Gieben
[12] 서적 The Fasti of Roman Britain Clarendon Press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